반응형
🧪 알레르기 검사 결과표, 제대로 읽는 법
| 약 5분 소요 | 주 3회(화·목·토) 연재 중
📌 핵심 요약
- RAST 검사, MAST 검사 등은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IgE 수치를 수치화한 혈액 검사입니다.
- IgE 수치가 높다고 반드시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.
- 클래스 수치는 참고 지표일 뿐이며, 문진과 증상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.
🧬 수치보다 중요한 건 “증상과의 일치”
“클래스 3이면 무조건 피해야 하나요?” “수치는 낮지만 예전엔 반응이 있었는데요…” 알레르기 검사는 ‘가능성’의 지표지, ‘진단’ 그 자체는 아닙니다. 결국 아이의 몸이 말해주는 증상이 가장 큰 단서입니다.
📊 클래스 수치별 해석 (RAST 기준 예시)
클래스 | IgE 수치 (kU/L) | 의미 |
---|---|---|
0 | 0.00~0.34 | 감작 없음 |
1 | 0.35~0.69 | 경계 / 저위험군 |
2 | 0.70~3.49 | 경도 감작 |
3 | 3.50~17.49 | 중등도 감작 |
4~6 | 17.50 이상 | 고감작 (주의 요망) |
※ 수치 기준은 검사 기관마다 조금씩 다르며, 반드시 의사 상담을 병행하세요.
🧭 검사 해석 시 주의할 점
- 같은 클래스라도 증상 반응은 사람마다 다릅니다.
- 감작은 있어도 반응은 없을 수 있어요.
- 반대로 수치는 낮아도 실제 먹었을 때 반응이 나타날 수 있어요.
- 문진 + 병력 + 증상 일지 + 수치가 함께 해석돼야 정확합니다.
반응형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2편: 🏫 어린이집·유치원 첫 입소 전, 알레르기 부모가 준비할 것들 (0) | 2025.08.28 |
---|---|
31편: 🧾 식품표시제, 부모가 헷갈리는 대표 질문 5가지 (0) | 2025.08.26 |
30편: 📦 알레르기 예방 교육, 가정에서 먼저 시작할 수 있는 5가지 (0) | 2025.08.23 |
29편: 🌎 나라별 알레르기 관리 문화, 우리는 어디쯤일까? (0) | 2025.08.21 |
28편: 🧘🏻 내 마음도 관리가 필요해요 — 알레르기 육아 번아웃 예방법 (0) | 2025.08.19 |